• 최종편집 2024-05-09(목)
 

지난 27,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국회의원들이 중심이 되어 대한민국 수소경제 정책방향 국회 토론회가 개최되었다.

 

여기에서 김창섭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은 수소경제의 성공을 위해선 무엇보다 속도가 중요하다탄소중립, 기후변화 대응 등을 위해서 수소경제 개막은 확실하며 여야 합의와 국민적인 공감대를 통하여 보다 속도있게 추진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조성경 명지대 교수는 에너지 주권을 위한 포트폴리오가 필요하며 여기엔 국가의 여건과 목표를 고려한 에너지믹스가 담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조건 배제하거나 확대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상적인 조건의 지역이라면 그린수소 가격이 2030년 이전에 그레이수소와 비슷하게 낮아질 수 있다이상지역과 그렇지 않은 곳의 그린수소 생산비용 격차가 더욱 커질 가능성을 있다면서 생산방식에 따라 그레이, 블루, 그린 등으로 나뉘는 수소에너지의 믹스는 단 하나만 몰입하지 않은 포트폴리오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20220101123706_9598.jpg

 

백철우 덕성여대 교수는 청정한 그린수소를 만들 수전해 기술이 충분한 경쟁력을 가질 때까진 블루수소가 시장의 수요를 충족할 수밖에 없다블루수소로 시장의 수요를 충족하면서 그린수소로의 전환을 유도할 청정수소발전의무화제도(CHPS)가 조속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석광훈 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도 수소는 재생에너지를 전력시장에 최대한 효율적으로 흡수하고 또 전력을 저장할 화학적 매체로서 필요하다국내에서 만들어야 한다는 강박을 버리고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저렴한 곳에서 수소를 수입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수전해장치 시장의 절대 우위에 있는 독일이 2030년까지 자국 수소 수요의 상당량을 수입하기로 결정하였다는 것이다.

 

수소경제로 가는 건 옳지만 가는 방향을 지금 제대로 안 잡으면 나중에 다시 되돌릴 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낭비될 것이라는 것이다.

 

한편 양병내 산업통상자원부 수소경제정책관은 그린수소 생산이 아직 멀었다는 회의적인 시각이 있는데 이미 세계는 그린수소 생산이 본격화됐으며 그린수소를 한국에 수출하려는 움직임도 적극적이다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시대는 더 빨리올 것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기술을 가진 중소기업들의 연구개발과 시설투자를 위한 세액공제와 수소기업에 대한 금융기관의 혁신적인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태그
첨부파일 다운로드
뉴스_-11.jpg (14.9K)
다운로드

전체댓글 0

  • 3019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국회의원 회관에서 ‘대한민국 수소경제 정책방향 국회 토론회’ 개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