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03(금)
 

미국은 에너지 공급망 안정화, 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2030년까지 3690억 달러를 투자할 예정이고, 유럽은 탄소중립산업법(NZIA)을 통해 청정기술 부문의 핵심기술에 집중 투자하는 등 주요국들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술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탄소중립, 경제성장, 삶의 질 향상 동시 달성을 목표로 경제구조 저탄소화 저탄소 산업생태계 조성 탄소중립사회로의 공정전환의 3대 정책방향과 탄소중립 제도기반 강화라는 3+1의 전략을 추진 중이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과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IFS)은 작년 1213일 서울대학교 교수회관에서 탄소중립을 위한 혁신기술이라는 주제로 165KISTEP 수요포럼을 개최해 2050년 넷제로 달성을 위한 우리의 지난 노력들을 짚어보고, 혁신기술 개발을 통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국가미래전략원 김준기 원장은 탄소중립은 우리가 함께 고민해야 할 시대적 과제라고 전하며 정책적 노력도 필요하지만 신재생에너지, CCUS, 온실가스 감축 활용기술, 산업연료 및 원료 대체기술들을 빠르게 확보하고 개발된 기술들을 상용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논의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탄소중립 R&D 정책의 방향성을 합리적으로 적립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시의적절한 행사라고 개최 취지를 밝혔다.

 

KISTEP 황지호 전략기술기획 본부장은 단일 부처 중심 R&D에서 기술 실현까지 고려한 범부처 협업 지원체계를 강화하고, ?관이 함께 탄소중립 기술을 정확히 타겟팅하고 개발?적용하는 전주기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현재 상용화 돼 있는 기술만으로 감축할 수 있는 탄소배출량은 2050년 글로벌 총 예상 배출량 중 26Gton(기가톤)에 불과하다. 자연기반 탄소흡수량과 인간들의 행동변화로 인한 탄소감축량을 제외해도 총 25Gton의 탄소감축이 필요하다.

 

또 지금까지 많은 탄소중립 혁신 기술이 개발됐지만, 그중 75%가 상용화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탄소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신속한 시장 대응 능력과 파괴적 혁신 실현 역량을 갖춘 스타트업 활성화는 필수며, 정부는 기후테크 스타트업 대상 기술실증 확대, 제품·서비스 대상 공공조달 확대 등 정책적 담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봤다.

이어서 민관이 함께 탄소중립 기술을 정확히 타겟팅하고 개발?적용하는 전주기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태그
첨부파일 다운로드
환-2.jpg (9.2K)
다운로드

전체댓글 0

  • 9419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수요포럼에서 탄소중립 기술의 78% 미상용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