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03(금)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지난해 8월에 제6차 실무그룹1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여기에서 “전 지구 평균 해수면 높이는 1901∼2018년 사이 0.2m 상승했다. 해수면 평균 상승 속도는 1901∼1971년 연 1.3㎜에서 2006∼2018년에는 연 3.7㎜로 약 2.85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와 같이 해수면 상승은 가속도가 붙어 빨라지고 있어 해수면 상승이 기상재해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해수면 상승은 해수 온도가 높아지면서 열 팽창을 한 요인과 내륙 빙하와 남극 해빙이 녹아 해양 용량이 커진 요인이 겹쳐 발생한다. 현재 해수면 상승의 출현 시기는 해양 온난화의 시작과 일치한다고 밝혀졌다. 즉 해수면 온도는 기원후∼1800년 사이에는 냉각 경향을 보였지만 1870년대부터 현재까지는 온난화 경향을 보이면서 해수면 상승이 이뤄지고 있다.

 

전 세계 인구의 11%가 해수면에서 10m 남짓 높은 해안 지역에 살아가고 있다. 해수면이 상승하면 해안 저지대의 홍수 위험이 급격히 커지고 바닷물 침수로 인해 담수가 해수화될 우려도 있다.

 

기후위기로 기상이변의 빈도와 강도가 높아지고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해안 지역은 극한 태풍과 폭풍해일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기후예측 모델에 의하면 이번 세기 안에 태풍이 점점 강해지고 빨라져 더욱 위험해지고 폭풍 해일로 인한 피해는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고 한다. 이는 사람들이 집과 삶, 심지어는 목숨까지도 잃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IPCC는 21세기 중엽에 “모든 위도의 상당수 저지대 해안지역은 매년 이러한 기상 이변을 겪게 될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해수면 상승으로 해안 저지대에 거주하는 약 6억 명의 인구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홍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해수면 상승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생동물과 생태계도 파괴된다. 극심한 홍수와 폭풍 해일은 인프라와 지역 경제를 망가뜨려 경제적으로도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

 

한반도의 경우 1990년부터 2020년까지 30년간 연안의 평균 해수면이 매년 3.12㎜씩 높아졌는데, 이는 2018년에 발표한 30년(1989~2018년) 연평균 상승률인 2.97㎜보다 더 높은 수치로 해수면 상승 속도에 가속도가 붙고 있는 것이다.

 

1990년부터 2019년까지 21개 조위관측소 자료를 분석해 상승률을 계산했는데 30년간 평균적으로 매년 3.12㎜씩 높아졌다. 해역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 부근이 연 4.20㎜로 가장 높았고, 이어 동해안(연 3.83㎜)과 남해안(연 2.65㎜), 서해안(연 2.57㎜) 순이었다. 관측지점별로 보면 울릉도가 연 5.84㎜로 가장 높았다.

 

해수면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원인은 그린란드와 남극대륙 빙상이 녹는 속도가 기후 모델들이 예측했던 것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이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10년간 전 연안의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매년 3.68㎜로 과거 30년간 평균 상승률의 약 1.18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수면이 지난 30년보다 최근 10년 새 더 많이 상승했음을 보여준다는 게 국립해양조사원 측 설명이다. 특히 동해안과 남해안, 제주 부근의 최근 10년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과거 30년간 평균 상승률 대비 1.3배 이상 더 빠른 것으로 관측됐다.

 

반면 서해안은 최근 10년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이 연 1.79㎜로 지난 30년간 평균 해수면 상승률(연 2.57㎜)보다 낮게 나타나 유일하게 해수면 상승률이 느려지는 경향을 보였다.

 

최근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및 이상 기후 현상으로 2030년 한반도의 5% 이상이 물에 잠기고, 332만명이 직접적인 침수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지구온난화로 해안과 하천의 홍수가 잦아지면 수조 원을 들인 국가 기간 시설의 기능이 마비되고 이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란 설명이다.

 

전 세계 인구의 41%는 해안가에 살고 있고, 인구 1천만 이상의 대도시 3분의 2가 바다와 인접한 저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해수면이 상승하면 이런 저지대 도시들은 각종 재해에 시달리게 되고 결국에는 바닷물에 침수 당하게 된다.

 

해수면 상승은 남극과 그린란드의 빙하가 녹아서 바다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발생한다. 북극해의 빙하는 얼음이 바다에 떠있기 때문에 녹아도 해수면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렇지만 육상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 상승에 직접 영향을 준다.

 

최근 북극의 해빙은 거의 40%가 줄어들었고, 해빙의 두께 역시 매우 얇아진 상태여서 북극 항로의 활용 가능성이 예상되고 있다. 북극 항로가 개설돼 러시아 연안의 북동 항로를 활용하면 아시아에서 유럽까지의 운항거리가 수에즈 운하를 경유하는 것보다 약 40%(8천km) 정도 단축이 가능하다.

 

상업적 활용이 가능한 북극 항로의 항해일수는 90일 정도인데, 북극을 항해하는 선박안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다년생 해빙이 많이 줄어들어 오는 2020 ~ 2030년에는 100일 이상의 항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당초 해운업계는 북극 항로의 상업화 가능 시점을 2040년으로 예상했었다. 그러나 지금 상황이라면 당초 예상보다 북극 항로 가능 시점이 10~20년 빨라질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 해운업계가 이처럼 북극 항로에 관심을 쏟고 있는 것은 북극항로가 수에즈 파나마 운하, 파이프라인, 대륙횡단 철도, 항공운송 등의 물동 수요를 흡수, 대체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1회 운송용량, 운송원가 등을 기준으로 했을 때 중국횡단철도(TCR), 시베리아 철도(TSR) 등 철로를 통한 육상운송과 충분한 경쟁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그래서 세계경제는 새로운 유러시아시대가 개막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있다.

 

한편 그린란드에는 전 세계 지하자원의 20%가 매장되어 있다고 추정한다. 이미 채굴이 시작되어 해마다 2천 킬로그램이 넘는 금을 채굴하는 금광과 2백만 톤의 감람석을 생산하는 감람석 광산을 비롯해 5천 2백여 개의 지하자원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바다에서는 빙산이 녹으면서 석유와 가스 개발에 가속도가 붙고 있어 지구온난화라는 지구의 재앙 속에서 오히려 새로운 기회를 얻고 있는 셈이다. 과학자들은 그린란드의 만년설에 2km 깊이의 시추를 시행한 결과 이 지역이 약 50만 년 전에는 녹색으로 뒤덮인 국가였음을 추정하고 있다. 그리고 초목류, 나비류, 거미류의 DNA가 발견되어 풍부한 지하자원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이와 같이 기후변화는 지구생태계에 큰 변화를 주는 재앙과 함께 새로운 선물도 우리들에게 주고 있는 것이다. 해수면 상승은 저지대 지역주민들에게 삶의 터전을 잃게 만들지만 또한 얼음이 녹아 동토 지역은 개발할 수 있는 여유가 생겨나 결국에는 빛과 그림자가 동시에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태그
첨부파일 다운로드
탄소.jpg (7.9K)
다운로드

BEST 뉴스

전체댓글 0

  • 6632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해수면 상승에 따른 빛과 그림자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