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15(수)
 

지난 21(현지시각)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제29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에서 국제 시민단체들이 원자력을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윤석열 정부 등이 나서 원전(핵발전)을 기후변화 대응의 핵심 동력으로 띄우고 있지만, 원전을 포함한 무탄소에너지’(CFE)에 대한 국제 사회의 호응은 그리 크지 않았다.

 

최근 열린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 현장에서 국제 시민단체들은 원전은 해결책이 아니재생에너지 확대가 핵심이라고 한목소리로 지적했다.

 

지난 11일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개막한 기후총회 행사장 안에선 각종 기후·환경 관련 기구·단체들뿐 아니라 국제원자력기구(IAEA), 세계원자력협회(WNA) 같은 원전 관련 기구·단체들의 부스들도 눈에 띄었다. 16(현지시각) ‘기후를 위한 원자력이란 주제로 원전 확대를 촉구하는 집회를 연 유럽원자력협회(ENS) 관계자는 원자력 에너지는 탄소 배출이 거의 없는 청정에너지인데, 이를 잘 모르는 대중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기후총회에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후총회 무대에서 원전 관련해 그 누구보다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우리나라 정부다. 15일 우리나라 정부 등은 한국관에서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새로운 솔루션이라는 제목으로 행사를 열고, 국제사회가 무탄소에너지 이니셔티브에 동참해줄 것을 호소하는 행사를 열었다.

 

우리나라 정부는 2050년까지 전세계 원전 발전량을 3배로 늘린다는 선언인 무탄소에너지 이니셔티브를 주도해왔고, 지난해 총회에선 관련 내용이 최종합의문에도 들어갔다. 선언 참가국은 한국·미국·프랑스 등 기존 22개국에서 올해 9개국이 늘었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이를 언급하며 이번 총회에서 원전을 대하는 분위기가 완전히 바뀌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총회 현장에서 전반적으로 원전에 대한 관심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무탄소에너지 이니셔티브관련 행사에 참여한 것은 주로 국내 관계자들이었다. 되레 시민사회에선 반대목소리가 컸다.

 

 

태그
첨부파일 다운로드
환-12.jpg (226.7K)
다운로드

전체댓글 0

  • 0389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원전, 무탄소 에너지로 인정을 받지 못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