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15(수)
 

서울 광진구(구청장 김경호)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2030년까지 공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50% 이상 감축하는 계획을 마련했다고 27일 밝혔다.

 

구는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2030년 이내로 20072009년 온실가스 배출량 평균보다 50% 줄이는 것이 목표"라며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적 노력에 광진구도 공공기관을 선두로 실천에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는 올해부터 '건물 온실가스 담당자'를 운영한다. 54개 모든 부서별로 담당을 지정해 온실가스 저감 이행 실태를 점검하는 것이다. 분기별 실적을 공개해 책임감을 높일 계획이다.

 

2025년부터는 '건물 에너지 등급제'를 전면 시행한다. 연면적 1이상인 대형 공공건물에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다. 구에서는 청사, 복지시설, 도서관 등 41곳을 대상으로 한다.

 

해당 건물에는 2022년 에너지 사용량을 기준으로 5개 등급을 지정한다. 매년 전년도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등급이 바뀌며 저탄소 건물에는 인증을 표시해 동기를 부여한다.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도 병행한다. 건물 유형에 따라 온실가스 총허용량을 설정해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갈 방침이다. 담당자는 분기마다 에너지 절약 이행 점검표를 제출해야 한다.

 

아울러 대기전력 저감제품 사용, 불필요한 전등 소등, 종이 없는 회의 등을 통해 공공건물 158곳이 탄소중립에 속도를 올린다.

김경호 구청장은 "기후위기에 맞서 공공기관부터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갖추고자 선제적 대응책을 강구했다""미래 세대를 위해 '나부터 실천하자'라는 적극적인 마음가짐으로 동참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태그
첨부파일 다운로드
환-10.jpg (13.6K)
다운로드

전체댓글 0

  • 2831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서울 광진구, 2030년까지 공공부문 온실가스 50% 감축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