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7(수)
 

환경부가 2018년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결과 전체 8,112개 측정소 중 844개의 측정소에서 지하수 수질이 오염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즉 지하수 중 수질 오염기준을 초과한 곳은 농촌관측망 12.5%, 지하수 수질전용 측정망 14.3%, 국가 관측망 9.9% 순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47.9%, 20158.5%, 20168.9%, 20179.7%, 201810.4%로 매년 오염도가 심각해지고 추세다. 특히 음용 지하수의 오염기준 초과율은 14.2%로 지하수를 식수로 이용하는 농산어촌의 경우 지하수를 통해 주민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지하수 오염의 원인으로는 지하수를 뽑아 올리기 위해 설치하는 관정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2019년 국회입법조사처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지하수 시설 수는 169만공이다. 이 중 사용하지 않는 불용공(不用空)155,000여개로 이 중 24,000여개의 공이 처리가 미흡한 상태로 조사됐다. 이 불용공을 통해 유입되는 가축 분뇨, 비료 등이 지하수의 주요 오염원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얼마 전 경기도 화성지역 양감면 일대에 식수로 사용하던 자허수가 신경장애를 일으키는 고독성 발암성 물질인 사염화탄소가 기준치보다 340배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근 지역의 J제약 등 각종 공장 10여개가 지난 10여 년 동안 각종 폐수를 배출하였기 때문이다. 더욱이 대부분 마을 주민들이 지하수를 마시고 있어 위험을 더해 주고 있는 실정이다.

 

2007년도 6, 전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학교 급식 집단 식중독 사고로 학생들은 무더기로 병원 신세를 져야 했다. 식중독 원인은 식재료 납품 회사가 전염성이 강한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지하수로 씻은 채소를 공급했기 때문이다. 식품 납품 업체가 정수를 거친 상수도를 이용했거나, 지하수를 사용하더라도 오염 여부만 확인했다면 이런 대형 사고는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20143월부터 환경부는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아 지하수를 식수로 이용하고 있는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무료 수질조사를 해주는 안심 지하수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전국 17개 시?군의 음용수로 이용하는 지하수 관정 약 25,000개를 대상으로 상?하반기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수질 기준 중 가장 많이 초과하고 있는 질산성질소와 총대장균군에 대해 간이 수질검사를 해서, 수질 기준을 초과한 관정은 먹는 물 수질 검사 기관에서 약 20개 기준 항목을 대상으로 정밀 수질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상수도 미 보급지역 다수의 주민들이 수질 검사를 하지 않고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할 경우 국민건강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실시되는 조치이다. 또한 환경부가 2012년부터 2013년까지 9개 시군에 있는 13,913개 관정에서 수질검사를 한 결과 부적합 판정을 받은 곳은 37.6%5,226곳으로 조사됐다.

 

지하수오염물질은 일반 세균과 분원성 대장균, 질산성 질소가 가장 빈번히 검출되고 있으며, 근래 들어서는 노로바이러스와 라돈 같은 방사성물질, 유류오염물질, 중금속류에 의한 지하수오염도 발견되고 있다. 전국 300곳의 지하수를 대상으로 노로바이러스 오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음용수로 쓰고 있는 64곳을 비롯해 전체의 34.7%104곳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으로 발표되었다.

 

질산성 질소는 혈액 속에서 헤모글로빈의 산소운반 능력을 떨어뜨려 산소부족 현상을 초래한다. 6개월 미만의 영아는 내장이 발달하지 않은 관계로 질산성 질소의 함량이 높은 물을 섭취할 경우 청색증(혈액 속의 산소가 줄고 이산화탄소가 증가해 피부나 점막이 파랗게 보이고 호흡이 곤란한 증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지하수는 연간 1~ 5m 정도로 매우 서서히 이동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어 한 번 오염되면 오염물질은 대수층 내에서 반영구적으로 잔존하여 우리 후세에게 가장 심각하고, 지속적인 환경오염의 부산물을 물려주게 된다.

우리나라 지하수관리는 이용 목적별로 9개의 관련 법률에 따라 분산 관리되고 있다. 즉 수질관리는 환경부(지하수법/ 먹는 물 관리법/ 수도법), 수량관리는 국토교통부, 농업용 지하수 개발은 농림부, 온천 개발은 행정안전부, 군사목적의 지하수시설 관리는 국방부가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중앙정부에는 지하수 전담조직이 없으며 국토교통부 수자원정책과 및 환경부 토양수질관리과에서 타 업무와 겸무하여 전국 지하수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지하수 오염은 되돌릴 수 없는 위해성을 안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종합대책을 마련하여 총괄적으로 관리하여 나가야 할 것이다.

 

지하수는 빗물이 땅 속에 스며들어 고이거나 땅 속의 암석 등의 빈틈에 채워져 있는 물을 말한다.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로 이용하고 먹는 샘물로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오래 전부터 지하수는 흙 속의 각종 미생물과 토양의 자정작용 때문에 오염되지 않고 좋은 수질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요즈음 지하수가 점점 오염되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도시화, 산업화로 인구가 도시에 집중되면서 생활용수가 크게 늘어났다. 기업형 축산으로 축산폐수는 늘어가고 중금속으로 오염된 공장폐수는 각 공업단지에서 배출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런 강물오염으로 여러 차례 심각한 수질오염문제가 사회 문제화 되었지만 아직까지 지하수 오염은 그렇게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일부 지역주민들은 지하수를 식수로 활용하고 있어 지하수 수질조사를 통하여 오염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대한 예방조치를 철저하게 실시하여야 한다. 그래서 지하수 오염으로 인한 재난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할 것이다.

지난 2010년 하반기부터 전국을 휩쓴 구제역 파동으로 수많은 가축들이 매몰됐다. 이들 가축 매몰지가 땜질식 처방과 사후 관리부재로 다수의 매몰지에서 침출수가 발생하고 있어 지하수 오염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지하수 오염문제를 우리나라에서는 폐광산, 군부대 또는 산업단지 등의 지역에서 토양오염이 문제가 되면, 필요에 의해 부수적으로 지하수오염 여부를 조사하는 정도이었다. 비싼 조사비용, 전문인력 및 장비의 부족 등으로 조사조차 제대로 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어서 심각한 지하수 오염문제를 해결해 나갈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우리나라는 연간 용수이용량의 12% 수준인 25억 톤 가량을 지하수로 이용하고 있다. 앞으로 물 부족현상이 심해지면서 지하수에 대한 의존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이런 지하수는 한번 오염되면 수질오염이나 대기오염과 달리 이를 정화시킨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지하수는 가뭄이 들어도 수량의 변화가 크지 않아 안정적이고 빗물이 땅 속으로 흘러들어 가면서 더러운 물질들이 지층 내에서 자연 여과되므로 하천수나 강물보다 깨끗하다. 일 년 내내 물의 온도가 거의 변화하지 않고 땅 속을 흐르는 동안 지층내의 여러 가지 물질들과 접촉하기 때문에 많은 광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지하수는 흐르는 속도가 느리고 인공적으로 정화시키기 어렵고, 자연정화 되기까지는 200년에서 1,000년이라는 긴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지하수를 오염시키면 당대는 물론 후손에게까지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된다.

 

 

태그
첨부파일 다운로드
환경.jpg (259.4K)
다운로드

BEST 뉴스

전체댓글 0

  • 6716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후손까지 악영향을 주는 지하수 오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